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ode
- visual studio code
- code 세팅
- settings sync
- code 설치
- 클라우드 비교
- 유니옥션
- Toast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 초대장
- '티스토리 초대장/ 티스토리초대'
- AWS
- visual studio code cli
- 티스토리 초대장/ 티스토리초대
- GNC
- 프리티어
- 티스토리초대
- code .
- Nodejs
- 티스토리 초대장
- CLI
- 플러그인
- Today
- 4
- Total
- 57,621
목록전체 글 (99)
신나게 개발하기
개발 배포 전/후 Diff 를 비교하여 문제가 있는 곳을 찾아주는 솔루션을 만들기위해 Github에 등록을 했다. React 와 Node.js 가 적응이 안되서 그냥 Spring 으로 만들까를 매번 생각하지만 공부를 위해서 하는 작업이니 만큼 끝까지 만들어가야겠다. https://github.com/JunhoYi/diff-sonic JunhoYi/diff-sonic Contribute to JunhoYi/diff-sonic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우선 3개 플랫폼을 사용해보고 느낀 주관적인 이야기를 적고자 합니다. 요약을 먼저 적고,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따로 적도록 하겠습니다. 전부 프리티어나 개인 개발자 쓰는 기준에서 적겠습니다. 가격 : TOAST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 AWS 안정성 : AWS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 TOAST 부가기능 : AWS >> 네이버 클라우드 >>>> TOAST 가격적인 면에서는, TOAST 가 가장 좋았다. TOAST의 경우 데이터가 날라갔을때 데이터 복원에 대한 책임이 없는 서버가 있는데, 이 제품군이 정말 말도 안되게 저렴하다. AWS 나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약 1/4 가격정도로 제가 쓰기엔 딱이였습니다. 중요한 정보는 마운트한 곳에 업로드 하거나, 안전한 DB에 저장하면 되닌깐 오토..

Visual Studio Code 로 code .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폴더를 기준으로 열리는 화면을 볼수 있습니다. Windows에선 install시 path 설정을 하면, 바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Mac 의 경우엔 그냥은 안되서 하는 방법을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1. 명령어 팔레트를 엽니다. 2.Shell 을 입력해 [ Shell Command: Install ‘code’ command in PATH command ] 를 실행합니다. 이렇게 하면 터미널(terminal) 에서도 CLI ( Comman Line Interface ) 를 사용 할수 있습니다.